카테고리 없음
1929년 미국의 대공황과 2025년 중국경제위기 비교
코코강냉이
2025. 5. 7. 21:40
1929년 미국은 산업생산 2배 성장, GDP 40% 증가 등 호황을 누렸으나 소득 불평등(상위 1%가 국부의 60% 차지)과 과잉투자로 버블이 형성됐습니다. 주식시장은 1928-1929년 70% 급등 후 10월 24일 '암흑의 목요일'에 폭락하며 대공황을 촉발했고, 1933년까지 주가 80% 하락, 1만 개 은행 파산, 실업률 25%로 치닫았습니다.
2025년 중국 부동산, 경제는 40년 경제개방이후 최대 위기입니다. 건설시행사인 헝다그룹(EVERGRANDE)이 3,000억 달러의 부채로 파산한 이후 1,300개 건설 프로젝트 중단, 협력 하청 업체의 연쇄 부도및 파산,150만 명 주택 구매자 의 피해가 발생하고 관련 은행의 대출 부실로 290개 소규모 은행이 합병되며 금융 시스템 취약성이 노출되었고, 설상가상으로 2025년 미중 무역전쟁으로 145% 관세 추가 부과되어 저장성·광저우 공장 가동 중단 사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1929년 미국의 경제대공황과 2025 중국 경제위기 비교표
구분 | 1929년 미국 | 2025년 중국 |
주요 원인 | 주식·부동산 투기, 신용대출 확대 | 부동산 개발 과잉, 그림자금융 확대 |
부실규모 | 250억 달러 예금 증발 | 99.9조 위안 미지급 대출 |
금융 위기 | 4년간 1만 개 은행 폐쇄 | 1년간 290개 은행 합병 |
정부 대응 | 뉴딜정책 (1933) | 5,200억 위안 자본 투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