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글로벌 자산운용사의 거인 블랙록과, 뱅가드 그리고 한국의 MBK 비교
    카테고리 없음 2025. 4. 20. 07:17

     미국의 블랙록(BlackRock)과 뱅가드(Vanguard), 그리고 한국의 MBK파트너스(MBK Partners)는 모두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가진 투자사입니다. 하지만 이들의 투자 방식, 주요 투자처, 그리고 최근 성과는 매우 다릅니다. 본 글에서는 각 사의 투자 전략과 성과를 비교합니다.

    블랙록(BlackRock)과 뱅가드(Vanguard) : 글로벌 자산운용사의 거인들
    1. 주요 투자처 및 전략

    블랙록(BlackRock)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로, 약 10조 달러 이상의 자산을 운용합니다. 대표 브랜드인 iShares ETF를 통해 글로벌 주식, 채권, 신흥국, 테마형(예: AI, 인프라, 클린에너지) 등 다양한 자산군에 분산 투자합니다. 최근에는 AI 인프라(데이터센터, 반도체, 전력망 등)와 저탄소 전환, 인구 구조 변화, 금융 디지털화 등 거대 트렌드에 집중하는 테마 투자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모시장(Private Markets)과 상장 전 단계 AI 기업,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에도 적극적으로 투자 중입니다.

    뱅가드(Vanguard)
    저비용 패시브 투자(지수 추종 ETF) 전략의 대명사로, 장기 자산 성장에 초점을 둡니다.대표 상품은 Vanguard Total Stock Market ETF(VTI), Vanguard FTSE Developed Markets ETF(VEA) 등으로, 미국 전체 주식시장과 선진국 시장에 광범위하게 투자합니다. 운용 비용(Expense Ratio)이 0.1% 이하로 매우 낮아 장기 투자자에게 특히 유리합니다. 뱅가드는 주로 시장 평균 수익률을 추구하는 패시브 전략을 중심으로, 투명성과 안정성을 강조합니다.

     

    블랙록(BlackRock)& 뱅가드(Vanguard)

    대표 상품 iShares ETF (IVV, EEM 등) Vanguard ETF (VTI, VEA 등)
    투자 전략 테마·전술적·사모시장, AI 인프라 등 저비용, 장기 패시브 투자
    투자처 글로벌 주식, 채권, 신흥국, 테마 미국·글로벌 주식, 선진국 등
    특징 다양한 테마, 높은 유동성, 혁신 초저비용, 장기 성장, 투명성



    2. 투자 성향 및 특징
    블랙록
    시장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테마별·전술적 자산배분과 사모시장 등 역동적 투자에 강점이 있습니다.
    AI, 클린에너지, 인구구조 변화 등 미래 성장동력에 선제적으로 자본을 투입합니다.

    뱅가드
    단기 시장 변동성보다 장기적 자산 증식을 중시합니다. 낮은 운용비용과 지수 추종 전략으로, 장기 투자자에게 꾸준한 수익을 제공합니다.

    3. 최근 성과
    블랙록
    2025년 기준, 연 매출 23.37조 달러로 전년 대비 14.52% 성장했습니다. 총마진율은 81.5%로 매우 높으며, 배당수익률도 2.36% 수준입니다. AI 인프라, 사모시장 등 신성장 분야에서의 투자 확대가 실적 성장의 원동력입니다.

    뱅가드
    구체적인 매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저비용 장기 투자 전략으로 ETF 시장 점유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도 자사주 매입을 통해 펀드 가치 제고에 힘쓰고 있습니다.

    MBK파트너스 , 한국 대표 사모펀드
    1. 주요 투자처 및 전략

     동북아 최대 사모펀드(PEF)로, 40조 원 이상의 자산을 운용합니다. 바이아웃(경영권 인수 후 기업가치 제고 및 매각) 전략이 핵심입니다. 국내외 대형 기업(메디트, 오스템임플란트, 케이뱅크, 롯데카드, 골프존, 고디바 등) 인수에 적극적이며, 최근에는 고려아연 경영권 확보, CJ제일제당 바이오사업부 인수전 등 굵직한 M&A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스페셜시추에이션펀드(SSF)를 통한 구조조정, 기업회생 등 특수 상황 투자도 병행합니다.

    2. 투자 성향 및 특징
    단기 수익 중심, 레버리지 활용, 대규모 차입(레버리지)을 통한 인수 후, 자산 매각 및 구조조정으로 투자금 회수에 집중합니다.
    기업의 장기적 성장보다는 단기 재무적 이득 실현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강합니다. 인수 기업의 부동산 등 자산 매각(세일앤리스백)으로 현금화 후 부채를 상환하는 방식이 대표적입니다.

    적극적 M&A, 산업 전반 투자
    유통(홈플러스), 금융(롯데카드, 케이뱅크), 제조(고려아연), 소비재(네파, 모던하우스), 헬스케어(메디트, 오스템임플란트) 등 다양한 업종에 투자합니다. 최근에는 국내 대기업 구조조정 자산의 ‘최후의 매수자’ 역할을 하며, 시장에서 존재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3. 최근 성과와 논란
    성 과
    2022년 39억 달러 투자, 29억 달러 투자금 회수 등 대형 거래를 성사시켰습니다. 메디트 인수(2조 4,500억 원), 케이뱅크 지분 확보, 골프장·롯데카드·고디바 등 굵직한 투자로 수익률을 높였습니다. 일부 펀드는 2.9배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논 란
    홈플러스(2015년 인수, 2025년 기업회생 신청), 네파(적자 전환), 영화엔지니어링(법정관리) 등 인수 후 경영난을 겪은 사례가 다수 발생했습니다. 무리한 레버리지와 단기 수익 중심의 투자 방식, 자산 매각 위주의 경영, 그리고 ‘먹튀’ 논란 등이 사회적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가의 손실 우려, 세무조사 및 사기성 어음 발행 의혹 등도 불거졌습니다.

    블랙록&뱅가드 vs MBK파트너스  투자방식과 성과 비교

    투자 방식 글로벌 분산, 장기·테마·패시브, 저비용 바이아웃, 단기 수익, 레버리지 활용
    주요 투자처 글로벌 주식·채권·테마·인프라·AI 등 국내외 대형 기업(유통, 금융, 제조 등)
    투자 성향 장기 성장, 안정성, 혁신 단기 차익, 구조조정, 자산 매각
    최근 성과 매출·자산운용규모 꾸준히 성장, 고마진 대형 M&A 성사, 일부 투자 실패 논란
    사회적 평가 혁신·안정성·신뢰(투자자 중심) 단기적, 논란·비판(‘먹튀’ 지적)



    결론 및 투자 시사점
    블랙록과 뱅가드는 글로벌 자산운용 시장의 표준을 제시하며,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자산 증식, 혁신적 테마 투자를 선도합니다.
    저비용, 분산 투자, 투명성, 그리고 미래 성장동력에 대한 선제적 투자로 지속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MBK파트너스는 한국을 대표하는 사모펀드로, 대형 M&A와 구조조정 시장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그러나 단기 수익 중심, 레버리지 활용, 자산 매각 위주의 경영 방식은 일부 투자기업의 지속가능성에 의문을 남기고 있습니다.

    투자자 시사점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자산 성장을 원한다면 블랙록·뱅가드의 ETF와 같은 글로벌 분산 투자 전략이 유리합니다.
    반면, 단기 수익과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한다면 MBK파트너스와 같은 사모펀드의 투자 방식도 참고할 수 있지만, 리스크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https://link.coupang.com/a/cprKV8

     

    삼성전자 갤럭시 S25 Ultra 자급제 SM-S938N - 휴대폰 | 쿠팡

    현재 별점 4.9점, 리뷰 2766개를 가진 삼성전자 갤럭시 S25 Ultra 자급제 SM-S938N!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휴대폰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