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30년이후 북극해 항로및 신항로의 개통 전망 및 경제 효과주식,부동산 투자 2025. 7. 3. 07:56
북극해 항로(Arctic Sea Route)란?
북극해 항로의 주요 노선 북극해 항로(Arctic Sea Route)는 네델란드 로테르담에서 러시아 북구 해안을 따라 베링해협, 블라디보스톡을 지나 대한해엽을 거쳐 중국 남부 해안까지 연결되는 신항로입니다. 기존 수에즈운하를 통과하는 항로에 비해 항로 아시아~유럽 운송 거리 30~40% 단축 , 운송기간은 기존 항로에 비해 10일 이상 단축됩니다. 부산항에서 수에즈운하를 통과하여 네델란드 로테르담까지 약 2만~2만2천km를 항해해야 하므로,북극해 항로를 이용하면 1만3천~1만5천km로 단축되어 약 30~40%의 거리가 단축. 됩다도 최대10일 이상 단축되어 물동량이 크게 증가합니다. 이는 운임 인하로 이어져, 수출 상품 가격 감소 및 러시아 LNG 선박연료 활용과 함께 친환경 효과도 있습니다.
러시아 정부는 2030년까지 북극해 항로를 통해 연간 1억 3천만~1억 5백만 톤의 화물 운송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35년까지 러시아 전역을 포함하여 북극해 항로를 완전 개통할 계획입니다. 따라서, 북극해 항로의 완전 개통(연중 항해가 가능한 시점)은 2030년 이후로 보는 것이 전문가들과 정부 담당자의 전망입니다. 이는 쇄빙선, 항만, 참여 투자 확대와 함께 가속화될 전망이며 러시아 정부와 관련 기관들은 2030년까지 격리된 쇄빙선(원자력 및 LNG에서만)추가 투입 , 항만 확장 확장 등 투자를 통해 경제성이 있는 북극해 항로 개통을 앞당기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북극해 항로의 경제 효과
북극해 항로는 대한해협을 거쳐 중국 해안으로 목표로 하기 때문에 부산, 울산, 경남은 북극해 항로의 주요 환적. 물류 거점으로서 지역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부산항은 아시아우ㅏ 관문이자 환적 항만으로서 세계 최고의 환적항만으로 도약할 수 있습니다. 항로의 물동량도 중국 상해항 등 경쟁 항만의 여건에 따라10년내 90배 가까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부산항의 환적, 물류 서비스, 벙커링(연료 공급), 선박 수리, 정비 등 조선, 기재재 등 연관 서비스 산업이 크게 성장할 전망입니다. 이에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등은 북극해 항로와 아래 대체되는 신항로를 활용한 글로벌 공급망의 거점이 될 전망입니다.대체해 항로란 무엇인가?(2040년대 이후 개통 전망)
기존 중동의 수에즈운하, 말라카 해협, 대만, 중국 남부 항만에서 부산으로 연결되는 항로가 중국대만 양안전쟁, 중동 정세에 따라 위험하고 비용도 높아져서, 북극해 항로처럼 러시아의 북부 해안선을 따라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신항로와 북극주변에서 유럽이나 북미, 동아시아로 연결되는 신항로의 경제성에 대해 각국이 경제적인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NSR( Northern Sea Route,동아시아~유럽), NWP( Northwest Passage 북극 베링해 부근~유럽), TSR(Transpole Sea Route 북극 극점을 통과하여 유럽~동아시아 연결) 등이 있습니다. 이 신항로들은 기존의 수에즈 운동, 파나마 운하 등 전통적 항로에 비해 최대 40%까지 항로거리를 단축할 수 있으나 북극의 빙하와 해빙 해로 개척, 북극해 주변 항만 개발에 따른 경제성 확보가 관건입니다.
'주식,부동산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생활형숙박시설개요및 현황과 오피스텔로 전환 방법 (0) 2025.07.06 2025년 은퇴한 워레버핏(Warren Edward Buffett)의 유산(遺産)과 명언(明言) (0) 2025.07.03 2025년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대출 규제 정책의 요약 및 향후 시장 전망 (0) 2025.07.01 유니클로, 다이소 등 일본 장기불황에서 성공한 10대기업의 전략 (0) 2025.06.30 퇴직금 중간 정산 제대로 받는 방법및 절세 전략 (1) 2025.06.30